수도 카불이 함락 위기에 처하자 아슈라프 가니(나이는 72세) 아프가니스탄 대통령은 누구보다 빨리 국외로 도피했답니다. 이런 가니 대통령이 탈출 당시 엄청난 양의 현금을 갖고 있었다고 스푸트니크 통신이 주아프간 러시아대사관 관계자를 인용한 뒤에 8월 16일 보도했답니다.
대사관 대변인인 니키타 이센코는 "(전날) 정부가 붕괴할 때 정말로 가니는 돈으로 가득한 차 4대와 함께 탈출했다"고 말했답니다. 그는 "돈을 (탈출용) 헬기에 실으려 했는데 모두 들어가지 못해 일부는 활주로에 남겨둬야 했던 것이다"고 덧붙였던 것입니다.
가니 대통령은 전국을 장악한 탈레반이 전날 카불마저 포위하고 진입하려 하자 부인, 참모진과 함께 국외로 급히 도피했답니다. 베일에 가려진 가니 대통령의 행선지를 두고는 언론 보도가 엇갈리고 있답니다. 알자지라 방송은 가니 대통령이 우즈베키스탄 수도 타슈켄트를 향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답니다.
러시아 스푸트니크 통신은 아프간 당국과 가까운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그가 현재 오만에 있다고 전했답니다. 이란 메흐르 통신은 가니 대통령이 지금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지만, 최종적으로 미국을 향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답니다. 국민을 버리고 외국으로 달아난 가니 대통령은 뒤늦게 페이스북을 통해 성명을 발표했답니다.
그는 전날 페이스북에 글을 올린 뒤에 "탈레반은 카불을 공격해 나를 타도하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밝혔던 것이다"며 "학살을 막기 위해 떠나기로 했던 것이다"고 해명했답니다. 그러면서 만약 자신이 아프간에 머물렀다면 수없이 많은 애국자가 순국하고 카불이 망가졌을 것이라고 변명을 늘어놓았답니다.
이러한 가니 대통령의 행보를 두고 아프간 국민은 물론 정부 내에서도 비판이 일고 있답니다. 가니 대통령의 경쟁 상대인 압둘라 압둘라 국가화해최고위원회 의장은 이런 상황에서 수도를 버린 가니에게 신이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비난했답니다. 압둘라 의장은 전날 가니 대통령의 탈출 직후 그를 곧바로 '전 대통령'이라고 칭하기도 했답니다.
지난 2014년 대선에 승리한 가니 대통령은 2019년 재선에 성공했답니다. 하지만 선거 때마다 대규모 불법 선거가 자행됐다는 지적이 일었던 것입니다. 그와 맞붙었던 압둘라 의장은 두 선거 결과에 모두 불복했고 결국 두 사람은 어정쩡하게 권력을 나눠 가졌던 것입니다.
가니 대통령은 문화인류학 학자 출신으로 세계은행 등에서 근무하면서 경제 분야 전문가로 거듭난 인물이랍니다. 그는 2001년 9·11테러 이후 미국이 탈레반 정권을 축출하자 귀국해 재무부 장관을 맡았답니다. 그는 재무부 장관으로 재임하면서 조세 체계 확립 등 아프간 정부의 개혁을 주도했답니다. 카불대 총장을 거쳐 2006년에는 유엔 사무총장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답니다.